차례 의식보다 복잡한 제사 문화는 ‘투 트랙으로 접근해야 한다는 게 그의 생각이다.
조선 전기 예문관 직제학 등을 지낸 연촌 최덕지(1384∼1455) 선생의 24세손인 그는 뿌리 깊은 유학자다.성균관이 나서 어디부터 가라고 조언할 일은 아니다.
유림도 명절 간소화에 적극적이다.전국의 종가 중 제사를 전통 방식 그대로 지내는 집은 현재 10가구 정도밖에 안 된다.유교에서 제사는 흉사(凶事)가 아니라 길사(吉事)다.
퇴계 종가 등의 차례상은 이미 간결하게 차려지고 있었다.배꼽인사 OK 안 변하면 소멸 위기감카카오TV 드라마 ‘며느라기의 명절 풍경.
성균관 교육원장으로 있던 2020년 성균관의례정립위원회를 만들어 고유(告由ㆍ가묘나 종묘에 사유를 고하는 의식).
양가 부모 모두 자신의 부모라는 기본 정신을 갖고 부부가 협의해서 형편껏 하라.이런 것들은 주로 정치공학적인 관심이라 할 수 있는데.
최근에 나오고 있는 연구들은 선진국의 경우 고령화의 부정적 효과가 생각보다 크지 않을 수 있다거나 혹은 심지어 새로운 경제적 기회를 창출할 수 있다는 연구들도 점점 많아지고 있다.오랫동안 저출산 고령화를 걱정하고 대책을 촉구해왔던 필자로서는 상당한 충격이었다.
정확히 말하면 노인 부양률의 급가속이다.장덕진서울대 사회학과 교수·리셋 코리아 운영위원.